https://ndb796.tistory.com/187?category=1029186
Git의 동작 원리 [Git으로 시작하는 협업과 오픈소스 프로젝트 4강]
기본적으로 깃(Git) 프로젝트에 담겨 있는 데이터들은 파일 시스템 상에서의 스냅샷(Snapshot)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프로젝트를 커밋(Commit)하여 적용할 때의 순간을 중요시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파..
ndb796.tistory.com
[git add 파일명]을 통해 해당 파일을 Staging Area로 이동할 수 있고, (.으로 전체파일 반영가능)
[git status]로 현재 Staging Area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확인할 수 있다.
[git reset 파일명]을 하면 다시 Staging Area의 파일이 다시 돌아온다. (.으로 전체파일 반영가능)
[git commit -m "해당 작업 설명"]을 통해 commit이 가능하다.
그 후 [git push]를 하면 프로젝트에 반영이 된다.
파일 수정 후 [git status]를 해보면 수정된 내역이 뜨는데,
이 때 [git checkout -- 파일명]으로 해당 내역을 그냥 무시해줄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파일의 수정내용이 복구된다.
'🛠 기타 > 개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입문] 콘솔에서 로그 활용하기 (0) | 2020.01.11 |
---|---|
[Git 입문] Branch? (0) | 2020.01.09 |
[Git 입문] 커밋 내역 수정하기 (0) | 2020.01.09 |
억대 연봉 개발자가 되려면? (비전공자 취업, 유튜브 테크보이 워니님 펌) (0) | 2019.08.21 |
나동빈님의 대기업IT직군 코딩테스트 합격을 위한 공부 순서 (0) | 2019.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