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 1950년대 미군이 처음 구축했다.
- 일정 구조에 따라 편성된 데이터의 집합이며, 여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내보낸다.
- 구조적 특징 : 통합성(데이터가 중복되지 않음), 저장성(저장매체에 저장), 공용성(다양한 목적으로 이용가능), 변화성(데이터 삽입 및 삭제, 변경 가능)
데이터베이스 종류
- 계층형 DB : 트리 구조를 활용해 계층적으로 구조 정의
- 네트워크형 DB : 그래프 구조를 활용해 구조 정의
- 관계형 DB : 계층형과 네트워크형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시킨 모델. 단순한 표를 활용해 구조를 정의한다.
- 객체지향형 DB : 객체의 개념을 도입해 멀티미디어같은 복잡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했다.
SQL
- IBM 연구소에서 개발한 SEQUEL에서 유래함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체계
- 데이터 정의, 데이터 조작, 데이터 제어 3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 데이터 정의(DDL) : 데이터베이스를 정의, 생성, 변경, 삭제하는 것
- 데이터 조작(DML) : 질의(query)를 통해 데이터를 불러오고 처리하는 것
- 데이터 제어(DCL) : 데이터의 보안, 무결성, 병행 수행 제어 등을 하는 것
- 경량 데이터 베이스용으로 1인 사용자를 전제해 로컬 컴퓨터에 탑재되는 SQLite
- 데이터 베이스 서버 구축용으로 다수의 사용자를 전제해 하나의 서버에 탑재되는 MySQL, Oracle SQL 등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고객관계관리. 고객과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여 고객 중심자원을 극대화하고 이를 토대로 고객 특성에 맞게 마케팅 활용을 계획, 지원, 평가하는 과정
- SCM (Supply Chain Management) : 원재료 생산, 유통 등 모든 공급망 단계를 최적화하여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제공하는 '공급망 관리'
-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인사, 재무, 생산 등 각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관리 시스템의 경영자원을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재구축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경영혁신기법
- BI (Business Intelligence) : 기업이 보유한 수많은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해 기업의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프로세스. 기업의 사용자가 더 좋은 의사결정을 하도록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 접근을 지원하는 응용 시스템과 기술.
- KM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 기업 경영을 지식적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하는 방식. 의사결정 주체인 인적 자원을 잃어버리면 그에 따라 지식 자원도 함께 잃어버리는 것은 방지하는 차원
'💻 CS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개념 (0) | 2021.05.02 |
---|---|
Mysql - 기초명령어 정리 (0) | 2021.01.20 |
SQLite - 기본함수 (0) | 2020.07.08 |
SQLite - DB 생성과 변경 (0) | 2020.07.08 |
SQLite - 기초문법 (0) | 2020.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