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징 단편화 문제를 압축방식으로 해결하려 했지만, 이 또한 비용이 발생한다. 좀 더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다가 발견한 것이 '페이징'이다. 단편화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프로그램을 연속된 메모리공간에 탑재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속적'이라는 조건을 없어지도록 하는 것이 페이징 기법이다. 즉, 페이징 기법은 연속된 물리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실행시간 및 주소결속 등 프로그램 수행에는 문제가 없도록 하는 방식이다. 프레임, 페이지, 페이지테이블 3개로 이루어진다. 전체 물리적 공간을 같은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놓고, 논리적 공간도 프레임과 같은 크기의 '페이지' 단위로 나눈다. 그리고 '페이지 테이블'을 통해 페이지를 프레임에 매핑시킨다. 즉 페이지 테이블은 일종의 주소 변환 테이블의 역할..